4. Git 셋업하기
4.1 사용자 설정 및 세팅 - 이론
- 로컬에서 사용할 Git 사용자 이메일과 이름을 설정
- git config: Git에 관한 설정을 추가, 변경, 삭제하는 명령어
- 설정 파일
- System 설정 파일(모든 시스템 사용자에게 적용) , ex) git config --system
- Global 설정 파일(한 사용자의 전치 Git Repository에 적용된다.) , ex) git config --global
- Local설정 파일(하나의 Repository에만 적용된다. ) , ex) git config --local
Note) Global Git 사용자 설정과 확인
-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내 이메일 주소 - 깃 아이디"
-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내 이름"
- 설정 확인: git config --list

Note) GitHub 계정에 ssh key 등록하기
- 컴퓨터에 ssh 키를 만들어서 깃허브 계정에 key 값을 등록한다. - 사용자를 인식한다.
- GitHub 오른쪽 상단 프로필 클릭, setting -> ssh and GPG keys
- new SSH Key클릭하여 Title과 복사한 key 입력한 다음 add SSH key 클릭
cf) SSH(Secure SHell, 시큐어 셸)
-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말한다.
4.2 사용자 설정 및 세팅 - 실습
Note) ssh 공개키 만들어서 깃허브 계정에 등록하기
Git - SSH 공개키 만들기
많은 Git 서버들은 SSH 공개키로 인증한다. 공개키를 사용하려면 일단 공개키를 만들어야 한다. 공개키를 만드는 방법은 모든 운영체제가 비슷하다. 먼저 키가 있는지부터 확인하자. 사용자의 SSH
git-scm.com
- cd ~/.ssh: ssh 키가 저장된 루트 폴더로 이동한다.
- ls를 입력하면 생성한 파일 목록이 나온다.
- ssh-keygen 입력한 다음, 파일 이름,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새로운 SSH Key를 생성한다. (비번은 비어있어도 된다.)
- ls를 입력해서 파일 목록을 확인한다.

- cat ~/.ssh/gitlecture.pub 입력하면 나오는 긴 코드를 깃허브에 등록해야한다.
- 만약, 이 부분에서 ssh-key가 나오지 않으면 창을 껐다가 켜면 해결된다.
-> 깃허브 -> Settings -> Access 탭 아래에 SSH and GPG keys -> new SSH Key 클릭
-> 그러면 내 깃허브 계정에 키가 등록된 걸 볼 수 있다.

4.2 Git 초기화 및 삭제
- 초기화 명령어: git init
- 초기화란 어떤 폴더에 속하는 모든 파일에 대해 깃으로 관리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을 의미한다.
- 소스트리에서는 "create"가 깃 초기화를 의미한다.
- 초기화하려면 폴더 안에서 명령어 git init을 입력한다.
- 초기화하고 나면 폴더 안에 숨김 폴더로 .git 폴더가 생긴다.
- .git 폴더를 삭제하면 모두 지워진다.
- Mac 또는 Linux 환경: rm -rf .git => .git 폴더 삭제
- 그러면 해당 폴더의 변경 사항을 Git이 더이상 관리하지 않는다.
Ex) 초기화, 삭제
- git init 입력해서 초기화한다.
- ls -al로 조회해보면 새롭게 '.git'폴더가 생긴걸 볼 수 있다. 로컬에 대한 설정 파일이 들어있다.
-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 파일 config가 들어있다.

-> 이전에 설정했던 global 사용자 설정의 영향으로 "config"가 있다.
- rm -rf .git 입력한다.

4.3 .gitignore란?
- .gitignore: 사용자가 git에 등록(커밋)되지 않길 바라는 파일 또는 폴더들의 목록을 저장한다.(자주 안 쓰는 파일들)
- .gitignore에 등록된 파일(폴더)들은 커밋 시 자동으로 제외된다.
gitignore작성 방법
- '#' 은 주석 역할을 한다.
- 폴더: /폴더명 ex) /docs
- 파일: 파일명.확장자 ex) test.txt
- 폴더 안의 파일: /폴더명/파일명.확장자 ex) /dosc/test.txt
- 폴더 안 특정 확장자 파일 전부 ex) /docs/*.text
- 이 때, docs 내부의 폴더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다.
- 폴더 안의 파일 뿐만 아니라 폴더의 하위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특정 확장자 파일 전부 ex) /docs/**/*.txt
ex) gitignore.io 사이트에 접속하면 작성에 유용하다.
- 인텔리제이 검색 => gitignore
bash
열기
- visual studio code
bash
열기
Ex) gitignore 실습



- 위 코드를 프로젝트의 .gitignore 파일에 저장한다.
- .gitignore 파일에 지우고 싶은 파일명을 적은 다음 저장한다. 그러고나서 파일 목록을 보면 색이 파일명 색이 회색으로 변한다.
- 폴더 안의 특정 파일만 ignore 하려면?

'컴퓨터 과학 > [zerobase] Git &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06. 저장소(repository) (0) | 2022.10.05 |
---|---|
Chaper 05. Git 기본 동작 원리 (0) | 2022.10.05 |
Chapter 01. Git 정의, Git 설치 방법 ~ Chapter 03. Git 준비하기 (1) | 2022.10.05 |
Chapter 10. README (1) | 2022.10.05 |
Chapter 09. 실무에 Git 적용하기 (0) | 2022.10.05 |